신생아들의 평상시 체온과 체온 재는 방법이 궁금해

😊


삐옹탄생 D+31일 (1개월차, 5주차)

주요 주제: 신생아 체온과 정확한 측정 방법

신생아 체온과 체온 측정법 설명

“삐옹이 몸이 평소보다 뜨거운 것 같은데, 열일까?”

“기저귀 갈 때마다 체온이 다르게 나오는데, 뭘 기준으로 봐야 하지?”

신생아의 체온은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 중요한 기준이지만,

측정 위치나 시간, 환경에 따라 체온이 다르게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이해가 필요해요.


🌡️ 신생아의 정상 체온은 몇 도일까요?

정상 체온은 측정 부위에 따라 다르며, 대체로 아래와 같은 범위 내에 있으면 괜찮아요:

측정 부위정상 범위 (℃)주의할 점
항문36.6 ~ 38.0가장 정확, 병원 기준 측정 방법
귀(고막)36.4 ~ 38.0빠르지만 신생아에겐 권장 X
겨드랑이36.0 ~ 37.5가장 흔히 사용하는 방법
이마(비접촉)35.8 ~ 37.4외부 온도 영향 많이 받음

👉 겨드랑이 체온이 37.5℃ 이상이면 발열로 간주하고 경과를 지켜봐야 해요.

👉 항문 체온이 38.0℃ 이상이면 열이 있다고 보고 진료 필요합니다.


🍼 삐옹이에게 가장 적합한 체온 측정 방법은?

✅ 겨드랑이 체온 측정 (권장)

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에요.

디지털 체온계를 겨드랑이에 넣고 5분 정도 유지

• 피부에 땀이 많으면 마른 수건으로 닦은 후 재는 것이 정확

• 양쪽 팔을 몸통에 바짝 붙이고 조용히 안고 있는 상태에서 측정해 주세요

✅ 이마 체온계(비접촉)는 보조 용도로만

• 빠르게 측정할 수 있지만 외부 온도나 피부 표면 상태에 따라 오차가 커요

재우기 전 열감 체크, 수면 중 가볍게 확인할 때는 편리

• 단, 이상 수치가 나왔다면 겨드랑이나 항문 체온으로 다시 확인하는 것이 안전

⚠️ 항문 체온 측정은 병원에서만 권장

• 정확도는 높지만, 불편함과 감염 위험이 있어서 가정에선 잘 사용하지 않아요

• 의료진이 발열의 정확한 원인을 판단할 때 주로 사용해요


💡 이런 상황에서 체온 측정을 해보세요

• 아기가 유난히 보채거나 안기려 할 때

손발은 차가운데 얼굴은 뜨거울 때

수유량이 줄거나, 잘 놀지 않고 축 처져 있을 때

밤에 자주 깨거나 깊이 자지 못할 때

예방접종 후 경과 관찰 중일 때

“열이 있어도 꼭 땀을 흘리거나 빨개지는 건 아니에요.”

그래서 조용한 시간에 한 번쯤 체크해보는 습관이 좋아요.


🚨 이런 체온이면 병원 진료가 필요해요

상황조치
겨드랑이 체온이 37.5℃ 이상미열이지만 지속되면 병원 상담
38.0℃ 이상으로 올라감고열로 간주, 빠른 진료 권장
36.0℃ 이하저체온 주의, 따뜻하게 보온 후 관찰
발열 + 보채거나 수유량 급감즉시 병원 진료 필요

특히 생후 3개월 미만 아기의 발열은 반드시 소아청소년과 진료가 필요합니다.


🧸 체온계를 고를 때 체크 포인트

• 신생아에게는 겨드랑이용 디지털 체온계가 가장 안전

• 이마 비접촉 체온계는 보조 수단으로 사용

• 고막 체온계는 생후 3개월 이후부터 권장


📌 결론

✔ 신생아의 정상 체온은 36.5~37.5℃ 사이

겨드랑이 체온이 기준, 정확히 잴 땐 5분간 밀착

발열이 의심될 땐 부위별로 다시 측정해보고, 38℃ 이상이면 병원 진료

삐옹이의 체온이 말해주는 작은 신호들을 잘 살펴주시는 지금,

그 세심한 손길이 아기에게 가장 든든한 건강 지킴이가 되어주고 있어요 💛


📚 참고자료

•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. 신생아 발열과 체온 측정 지침

• 서울아산병원 건강정보: 영아기 체온관리

• UpToDate: Fever in neonates – evaluation and management


연관글 같이보기

Leave a Comment